본문 바로가기

  1. 카닥 자동차 꿀팁
  2. 자동차 수리 상식
  3. 문콕 보험 처리 했더니, 왜 내 보험료가 할증되는 거죠?

문콕 보험 처리 했더니, 왜 내 보험료가 할증되는 거죠?

자동차 문 열림
자동차 문콕 보험 처리

문콕 보험 처리 한 번에 다음 번 계약 때 보험료가 크게 할증되는 이유는 사고 건수에 따라 보험료가 할증되는 '사고건수요율제' 때문입니다. 문콕 보험 처리를 거친 몇몇 분들은 경미한 사고였음에도 불구하고, 그 이후 계약 때 크게 오른 보험료를 마주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. 억울하게도, 100% 상대방의 과실이었다 하더라도, 문콕 보험 처리 이후 자신의 보험료가 할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 

사고건수요율제란?

사고건수요율제란 수리비가 아무리 적어도, 즉 아무리 경미한 사고일지라도, '사고건수'를 기준으로 보험료가 할증되는 제도를 말합니다. 정확히 말해 운전자가 가입 시 설정한 물적사고 할증 기준금액 이하의 사고라도, 최근 3년 이내에 보험처리 사고 건수가 늘어나면 보험료가 할증되는 것입니다. 이는 무사고자와 사고다발자를 차별화하고자 시행된 제도지만, 많은 이들이 잘 모르고 있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.

 

따라서, 경미한 사고는 최대한으로 보험 처리를 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운전자가 보험 가입 시 설정한 할증기준금액과는 별도로 사고건수요율제에 따라 사고 보험 처리가 이루어질 경우 반드시 보험료가 할증됩니다. 따라서, 문콕 보험 처리 한번에도 사고 건수가 늘어나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기 때문에 보험 처리 이전에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. 비보험 처리로 최대한 수리 비용을 낮춰 보험료 할증을 최대한 피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?